본문 바로가기

심리

불륜·외도가 큰 죄악인 이유 가족과 배우자를 배신하는 기혼자의 불륜·외도는 가장 큰 죄악 유부남·유부녀가 바람피우는 것을 불륜, 혹은 외도라고 합니다. 하나의 상대방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을 불륜이라고 하고, 꼭 깊은 관계까지는 아니더라도 여러 상대와 사귀는 것을 외도라고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모두 죄악입니다. 배우자가 아닌 다른 상대에게 정서적·육체적인 관계를 맺는 것 모두 분명한 불륜(외도)이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유부남·유부녀가 썸 타는 것도 배우자를 배신하는 행위로써 당연히 불륜죄입니다.  불륜·외도가 죄악인 이유 바람난 유부녀·유부남이거나, 혹은 한쪽만 기혼자인 경우를 막론하고,,바람피우는 내연관계의 당사자들은 불륜을 로맨스로 포장하며 연애기분을 한껏 만끽하며 즐기겠지만, 이러한 불륜죄는 자신의 가족과 배.. 2015. 5. 27.
부모의 불화로 상처받는 아이의 자존감 부부의 갈등을 치유해야 아이의 자존감과 상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고 평소에 우울한 아이는 자신감이 결여되고 성격 또한 소극적으로 변합니다. 이러한 성향이 두드러지게 되면 교우관계에 있어서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친구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몰라 주저하거나 친구를 사귀는 방법을 몰라 또래들 사이에서 겉돌게 되어 자칫 다른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아이들의 문제는 선천적으로 타고 난 성격적인 문제보다는 성장하면서 겪은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큽니다. 예를 들어 만 3세 이전에 엄마와의 애착형성에 문제가 있었다든지,어떤 일로 인해 심한 트라우마를 겪었다든지,부모의 과도한 훈육이나 체벌이 있었다든지,대인관계에 있어 자신감을 잃게 하는 어떤 계기가 있었다든지,엄마와 아빠가 갈등과.. 2015. 5. 2.
부부의 사랑은 시드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것 한 쌍의 남녀가 만나 연애를 시작하여 불꽃같은 사랑을 하고 마침내 결혼을 하게 됩니다.그러나 달콤한 신혼의 시간도 잠시, 어느덧 일상과 육아에 치이면서 시간은 덧없이 흘러가면서 부부의 사랑도 식어갑니다. 그리고 열렬히 사랑했던 추억은 기억조차 희미해지고, 자신도 모르게 마음과 달리 서로 많은 갈등을 겪게 되면서 어느덧 마음마저 냉담해집니다. 물론 결혼하고 시간이 오래 흘렀어도 여전히 금슬이 좋은 부부도 많습니다만, 연애 시절의 설렘이 짜증으로 바뀐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오랜 시간이 흘러도 금슬이 좋은 부부들은 어떻게 오랜 결혼생활 동안 부부간의 사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일까요?   부부의 사랑은 업그레이드하는 것  그 이유는,,연애시절이나 신혼 때처럼 서로에게 설레는 감정은 계속 유지할 수 없더라도,.. 2015. 4. 8.
[정신건강과 마음치유] 공감이 곧 치유이자 행복의 조건입니다 행복의 조건이라고 한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많은 사람들이 솔직한 심정을 토로한다면 아마도 돈을 1순위로 꼽을지도 모릅니다.그다음은 건강, 그리고 명예(자존감)이겠죠 머, 굳이 부정하지는 않겠습니다.그러나 돈을 1순위로 두고 끝없이 돈을 버는 것에만 집중한다면 실제로 본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행복은 가까이 다가오지 않을 것입니다.원래 돈이란 것은 아무리 채워도 늘어난 욕구만큼 부족하게 느껴지는 블랙홀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죠. 결국 행복의 조건은..돈, 건강, 자존감(명예심)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또 하나의 결정적인 변수가 존재합니다.바로 '인간관계'죠.  여기서 말하는 온전하면서도 원만한 인간관계란 부부, 가족,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모두 지칭하는 것입니다. 결국 원만한 인간관계가 .. 2014. 6. 2.
인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주살(煞), 그 부정적 의미의 실체 인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여러 가지의 사주살(煞), 그 부정적 의미의 실체 옛부터 사주명리학이나 관상학에 근거하여 회자되던 일명 '도화살, 역마살, 망신살' 등.. 한 번쯤 들어봤음직한 이러한 煞은 사람의 인생에 있어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액운을 없애기 위해 각종 살풀이나 굿을 하기도 하죠. 예를 들어,,도화살은 색을 밝히고 바람기가 있고 역마살은 한 곳에 머무르지 못하여 곳곳을 전전하는 팔자를 겪게 된다는 식이죠. 그런데 젊은층 가운데서도 인터넷 상에서도 이러한 사주풀이가 꽤 성행하고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사주풀이가 긍정적인 이야기보다는 위에서 언급한 사주살이나 액운 등... 상당히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들이 많은데다 이를 맹신하는 사람들이 의외.. 2014. 4. 30.
리플리증후군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 리플리증후군이란? 리플리증후군은 자신이 지어낸 거짓말의 세계를 진실이라고 믿는 증후군으로서 일종의 망상장애입니다.주로 과대망상적 사고가 주된 원인이긴 하지만, 반사회적인 인격장애가 수반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문제가 됩니다. 리플리증후군의 환자들은 일반인들이 거짓말을 할 때 느끼는 불안이나 두려움 등을 별로 느끼지 않기 때문에 양심의 가책도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거짓말을 습관처럼 한다고 해서 모두 리플리증후군으로 볼 수는 없는데,,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급급하여 계속 거짓말을 하게 되는 경우와 다르게,리플리증후군은 자신이 만들어낸 거짓말을 자신이 믿는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리플리증후군은 자신이 동경했던 세계의 인물이나 선망의 대상을 타깃으로 시작하여 그러한 존재와 자신.. 2014. 4. 23.
[두뇌건강] 밝고 긍정적인 적극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 흔히 밝고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현실적으로 날마다 스트레스는 쌓이고 감정은 우울하며 이로 인해 의욕은 저하되는데 이런 말을 들으면 공감은 하면서도 실제로 그런 상태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긍정적 사고가 두뇌를 살린다?! 하지만 비록 답답한 현실에 처해있다 해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밝고 긍정적이며 적극적이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오늘은 그러한 이유 중에서도 두뇌건강의 측면에서 밝고 긍정적이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두뇌건강의 중요성 우리의 두뇌는 몸의 2% 밖에 되지 않지만 에너지의 20%를 사용할 만큼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신경을 많이 쓰면 심신이 피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또한 두뇌의 부피는.. 2013. 5. 23.
눈 내리면 하고 싶은 것들.. 눈이 펑펑 내리고 있어요.. 해마다 내리는 눈이지만, 올 겨울 첫눈입니다. 첫눈치고 참 많이도 내리는데 바람까지 매서워 옷깃만 여밉니다. 동심이 가득했을 때는 눈 내리는 것만으로도 설레곤 했는데.. 이제는 발코니 창문으로 내리는 눈만 아름답습니다. 문득 여유로운 시간이 선물처럼 다가왔을 때, 창밖으로 내리는 눈송이를 바라다보면, 일상에 묻혀 잠시 잊혔던 기억들이 되살아 나곤 합니다. 이렇게 눈이 내리는 날이면, 떠오른 기억들을 머물게 하기 위해서라도.. 일상 속에 잠시 밀쳐내야 했던 것들을 하고 싶어 집니다. 기억을 떠올리는 음악을 듣기도 하고, 오랜만에 묵혀두었던 茶香을 음미하기도 하고, 사진 속의 책갈피 같은 옛 편지를 꺼내어 읽어보기도 합니다. 해마다 다가오는 겨울이지만, 찬 바람 불기도 전에 따듯.. 2012. 12. 6.
또 한번의 사춘기, 2030 이머징 어덜트후드 2030 이머징 어덜트후드 어른들의 또 한 번의 사춘기 (Emerging Adulthood) 2030 세대의 사춘기.. 좀 어색하죠? 이미 온전한 성인이라고 여겨지는 나이인데 제2의 사춘기라니... 하지만 소위 어른들의 사춘기라는 '이머징 어덜트후드'는 실제로 존재한다고 봐야 합니다. 2차 성징의 발달로 혼란을 겪는 사춘기가 제1의 사춘기라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자신의 현실에 대한 불안감과 자신감의 결여 등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시기가 바로 또 한 번의 사춘기인 셈이죠. 40대 이상이 되면 어느 정도 현실과 타협, 혹은 현실에 순응하거나 웬만한 충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내성이 생겨 쉽게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한 편으로는 열정이나 욕망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는 있겠지만...) 그러나 2,30대.. 2012. 12. 3.